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 Suspend isse ultrices hendrerit nunc vitae vel a sodales. Ac lectus vel risus suscipit venenatis.

Amazing home presentations Creating and building brands

Projects Gallery

Search

[몿지니의 꾸러미] ‘춤과 세레모니’ 편

‘몿지니의 꾸러미’는 매월 하나의 주제로 <몿진>을 기획하고 글감을 구성하면서, 몿지니들이 영감을 받았던 재료들을 한데 모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이번 호는 ‘춤과 세레모니’를 주제로 보코가 채집한 영감의 꾸러미를 풀어봅니다.


단편 소설 <춤추는 사신> 
배명훈 글, 노상호 그림 (2018)

춤에 관한 글을 쓰면서 언젠가는 반드시 언급해야겠다고 마음을 먹고 꽁꽁 아껴두었던 소설이다. ‘춤과 세레모니’라는 이번 호 주제와 몹시 잘 어울려서 소개를 안 하려야 안 할 수 없었다. 손바닥만 한 크기에 스마트폰 두께의 얇은 책으로 언제 어디서든 꺼내어 읽기 좋다. (단편 소설과 일러스트를 함께 소개하는 이 문학 시리즈 이름은 무려 ‘테이크 아웃’이다) 

멸망하는 세계에 사신이 당도한다. ‘별이 떨어져 생겨난 불구덩이 옆에 서 있던 여자’인 사신은 아무런 말이 없고 이따금 춤만 춘다. 사신의 언어를 해석하기 위해 노스승 대신 글을 배운 소녀가 불려간다. 소녀는 ‘춤이 아닌 줄은 모두가 알고 있었지만 춤이라고밖에는 달리 표현할 말이 없는’ 사신의 움직임을 해석해 나간다. 소설 속 상상의 여백을 중간 중간중간 등장하는 노상호 작가의 그림이 채워준다. 시각이라는 감각을 최대한 활용해 글과 이미지로 춤을 읽어나가는 일은 몸을 움직이며 춤을 이해할 때와는 또 다른 자극을 선사한다.


자서전 <혼의 소리, 몸의 소리>
이해경 글 (2003)

이번 호 인터뷰의 주인공인 이해경 만신이 직접 기록한 자서전이다. 17년 전에 쓰인 이 책은 여전히 강력하게 읽힌다. 한 인간의 생애에 이렇게 다채로운 역경과 서글픔과 모순이 동시에 벌어질 수 있는지에 놀라고, 그런데도 자기중심을 잃지 않고 꼿꼿이 직면하는 삶의 태도에 또 한 번 놀란다. 

이 책에는 저자뿐 아니라 저마다 사연을 가진 여성들이 많이 등장한다. 사흘 걸립에 함께 해 준 상도동 여성들, 병에 걸린 아들과 먼저 죽은 남동생을 가슴에 품은 여성들, 일본의 현지처라 멸시받으면서도 이웃의 어려움을 못 본 척 하지 않던 여인들까지. 살풀이를 찾고 삶의 지침을 구하던 여성들은 저자가 필요로 하는 순간 손을 내밀거나 울음을 닦아 주는 존재였다. 저자의 삶의 기록을 쫓아가면서 굿과 무당에 대해 가지고 있던 편견과 무지가 조금씩 부서진다. 덩달아 굿의 사회적 역할과 존재 가치에 대해서도 고민해보게 된다.


다큐멘터리 <만신>
박찬경 연출 (2014)

이번 호 인터뷰를 준비하면서 이해경 만신의 삶을 거슬러 올라가다가 김금화 만신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해경 만신에게 내림굿을 준 만신이자 무용가로 지금은 고인이 되셨지만, 서해안 풍어제와 대동굿 기·예능 보유자이다. 김금화 만신의 생을 다룬 영화 <만신>은 완전한 극영화라고 보기도 어렵고, 그렇다고 완전한 다큐멘터리도 아니다. 극적 요소와 다큐멘터리 사이를 스리슬쩍 오가며 경계를 허무는 연출이 인상적이다. 그 자체로 만신의 존재를 별다른 부연 설명 없이 직관적으로 전한다. 신과 인간 사이, 전생과 이생 사이, 삶과 죽음 사이, 이쪽과 저쪽을 경계에서 연결 짓는 존재.

영화는 영화를 만드는 데 참여한 이들의 안위와 관객의 무사 평온을 비는 소리로 시작해, 어린 김금화가 신내림을 받기 전에 쇠걸립을 하러 돌아다니는 장면으로 끝난다. (쇠걸립은 무당이 되기 전 마을을 돌아다니며 놋숟가락 등 쇠를 얻는 것을 칭한다. 후에 무당이 되면 모은 쇠를 녹여 방울 등 무구를 만드는 데 쓰인다.) 만신은 영화라는 장르를 통해 스크린 안과 밖을 연결 짓는 역할로 확장된다. 의식이 한 뼘 넓어진다. 한때 너였다가 지금은 나인 존재, 떠나가기도 하고 남기도 하는 여러 존재들을 떠올려본다.


영상 <보보동 마스크 댄스>
쿨레칸 촬영 (2017)

2017년 쿨레칸 팀이 부르키나파소를 여행할 때 직접 촬영한 영상으로, 이번 호 소영의 ‘아프리카 만딩고 춤 안내서’에서 자세하게 소개된 보보동 마스크 춤이다. 영상은 사람들에게 가장 인기가 좋다는 ‘소’와 ‘산새’ 가면을 쓰고 추는 춤으로 시작한다. 소영이 글에서도 언급한, 청록과 분홍의 옷을 입고 머리에는 소 탈을 쓴 이의 ‘귀여움’을 직접 엿볼 수 있다. 

다양한 형태의 가면과 화려한 빛깔의 마스크 춤이 이국적이면서도 어쩐지 익숙한 느낌이다. 역동적인 움직임이 한국의 북청 사자놀음, 사자춤을 연상 짓게 한다. 영상 중간에 원 안으로 뛰어들어 공중제비를 도는 아이들의 모습이나, 맨바닥에 둥글게 모여 앉아 적극적으로 호응하는 사람들의 모습도 비슷하다. 일상에서 호흡하며 생명력을 획득해갔던, 의식의 자리에서의 춤과 음악의 존재감을 다시금 상기해본다. 

No Comments

Reply